JCO 다녀오며

기타 2008. 3. 26. 19:27

JCO 다녀와서... 들은내용 정리한것
 
1.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비즈니스 어플리케니션 개발 방안 – 김창제
- 오픈소소를 사용해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경험한 노하우를 공유
- 많은 Join문이 있을 때 Hibernate에서의 문제점이 있어서 국내에서는 iBatis를 사용하는 경향이 짙음
- Maven + CVS + LuntBuild를 사용해서 CTIP(Continuous Test & Integration Platform) 개발환경 구축
(CVS에서 소스 가져와서 빌드 + JUnit으로 TestCode처리 + 패키징 +
이상유무에 따라 메일발송 + 배포 + Reuse Repository)
- Eclipse기반의 플러그인을 많이 사용하여 소스코드 생성 및 DB I/O처리등을 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,
개발 시 오류 발생을 사전에 감지함으로 소스품질 및 생산성 향상
([자동코드생성]  WTP + Code/Conf.Gen, [SQL, Spring XML생성] Spring IDE, DBIO)
- 설계 단계의 모델링된 클래스와 소스코드상의 클래스가 서로 자동으로 반영되도록 유지
- Spring의 DI, AOP와 JUnit의 TDD의 중요성을 강조

2. 이클립스 SWT 실용주의 – 박용우
- 이클립스 SWT를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서 공유
- 자동배포 기능 사용시 RCT를 사용해서 만들어야 함
- 개발중에 Thread를 사용해서 swf 프로그램을 호출 시[Invalid thread access]관련 오류가 발생하면 Thread마다 Display객체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변경해야함
- JSmooth를 사용해서 jar => exe 파일로 변경
- InstallFactory를 사용해서 install기능 가능(http://file.naver.com/view.php?fnum=28516)

3. 패턴언어(Pattern Language) – 최상훈
- 패턴은 크게 architecture(ex> MVC), design(ex> Observer), Idiom(언어별 존재하는 패턴, Micro)로 나뉘고 프로젝트에는 3가지가 모두 섞여있는 형태로 존재한다.
- 프로젝트 설계 시 architecture 을 사용, 세부설계 시 design, 개발 중에 Idiom을 사용하여
전체 프로젝트를 pattern으로 구성이 가능하고 가장 좋은 구성은 패턴들의 집합(Grady Booch : The best architectures are full of patterns)이다.

4. 애자일에 대한 7가지 교훈 – 김창준(http://agile.egloos.com)
- 1. 삼위일체 - 배움과 즐거움과 성과는 하나이다.  어느 하나를 강요해서도 안되며,
성과에 실패를 하더라도 실패한 것을 즐겁게 개선하는 방법으로 즐거움이 있었다면, 후에, 도움이 된다
- 2. 품질 - 품질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다(설명이 없었음)
- 3. 왜 이걸 하는가 – 돈을 벌기위한 수단으로 생각하지 않고,
즐거움으로 일할 수 있어야 한다.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할 때, 뇌의 불이 켜진다고 한다.
- 4. 우선순위 – 다 하려고 하면 못한다.
- 5. 마음의 중요성 - 테스트를 성공하고, 실행을 했는데, 중간에 버그가 발생한 경우.
당황하지 말고, 바로 수정하기 전에 어느 곳에서 문제가 발생했을지 미리 생각해 본다.
문제가 예상되는 곳을 정하고 해당 부분을 직접 소스를 보고 수정한 후 확인한다.
위와 같이 무조건 수정하기 전에 문제의 원인과 수정 후 결과를 생각해 봄으로 에러를 8/1정도 줄일 수 있다고 함
- 6. 생명의 느낌 – 프로그램을 생명과 같이 생각해야 한다.
- 7. 끝없는 길 – 계속적으로 애자일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.

5. Spring OSGi – 이일민(http://toby.epril.com)
- Spring OSGi를 사용하면 runtime에 install, start, stop, uninstall, update등을 할 수 있고,
다른 버전들을 같이 사용 할 수 있다. 기존 Spring에서 xml부분에 약간의 수정으로
바로 Spring OSGi를 사용할 수 있음
- 아직 바로 적용하기에는 OSGi를 위한 강력한 관리툴 부재등이 있음, 올해말 쯤부터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예상함

Posted by 파이팅야
,